안녕하세요. 일상에서 얻는 정보를 모두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일상에서 일어나는 에피소드들의 정보들을 기록하여 기억하고자 하는 시점에 기록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글을 쓰고자 하는 이작가입니다.
저 역시 지나간 모든 과거의 경험들을 전부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과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필요한 시점에 과거의 경험의 정보를 활용해 보기 위해 이 글을 작성합니다.
기록된 정보들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전달될 수 있길 바라겠습니다.
목차
엑셀(excel) 데이터 작업 또는 급여 작성을 할때 연차 사용 개수와 남은 개수 또는 경력에 따라 발생하는 총 연차 개수를 카운트 하거나 계산 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차 발생 개수와 남은 개수 그리고 사용 개수에 따라서 남은 개수가 차감되고 남은 연차 개수로 연차 수당을 계산 하는 수식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셀을 사용하시는 모든 분들의 수식 작성에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전달 되기를 바라겠습니다.
1. 연차 발생 수식 작성.
조건에 따라 연차가 발생 하는 수식을 작성하기 위한 샘플 예제 서식을 위 이미지에서 보는것과 같이 간단하게 작성해 보았습니다.
B열부터 H열 3행 이하에 출근 시간 또는 결근, 퇴근, 조퇴, 연차등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발생되는 연차와 누적 연차 개수를 계산하여 표기 할 수 있는 수식을 작성하는 샘플 예제 서식으로 J열의 누적 연차 개수는 발생된 연차 개수, 남아 있는 연차 개수, 사용한 연차 개수가 입력된 기초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하기 때문에 샘플 서식에서는 별도의 수식은 작성 하지 않고 I열의 수식만 작성하여 계산 되는 결과값을 표기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수식을 작성하기 위한 조건 예제는 "조퇴를 포함 하여 한달 모두 출근 할 경우 연차 1개 발생 하고 결근이 1번이라도 있다면 연차는 0개, 연차 사용은 연차 사용 개수 만큼 차감"이라고 가정 했을때 조건 예제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습니다.
① 조퇴를 포함 하여 모두 출근 한 경우에는 연차 1개 발생. ② 결근이 1개라도 있다면 연차 0개 발생. ③ 연차가 입력된 개수 만큼 연차 개수 차감. |
I3셀에 위 조건에 따라 계산 되는 수식을 다음과 같이 작성 할 수 있습니다.
=SUM(IF(COUNTIFS($B3:$H3,"결근")>=1,0,1),-COUNTIFS($B3:$H3,"연차")) 또는 =IF(COUNTIFS($B3:$H3,"결근")>=1,0,1)-COUNTIFS($B3:$H3,"연차") |
두 수식간의 큰 차이가 없고 모두 동일한 결과값을 반영하겠지만 굳이 서로 다른 형식의 수식을 작성해 본것은 보통 sum함수 인수를 어떻게 작성 하는지에 따라 수식의 형태가 약간씩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작성해 본것입니다.
sum함수는 합계를 계산 하는 함수로 사칙 연산 중의 하나로 sum(a)+sum(b)로 작성할수도 있고, a+b, sum(a,b)로도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sum(a,b)형식의 sum함수 수식으로 작성하면 sum함수를 여러번 작성 하지 않아도 되는것인데 이렇게 간단한 수식을 단순 사칙 연산으로 수식을 작성한다면 복잡해지는 수식을 작성 하는 경우도 생기게 될 수 있습니다.
수식을 확인해 보면 조퇴 여부는 연차 발생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작성된 수식에서 조퇴 개수를 계산하는 수식은 보이지 않고 결근의 여부에 따라 한달에 1번 연차가 발생하고 발생한 연차를 포함해서 사용한 연차를 차감해 주면 그 달의 연차가 발생 되었는지 혹은 몇개의 연차를 차감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크게 어려운 함수와 수식은 없고 아마도 대부분 자주 사용하는 수식일텐데 countifs함수의 결과값을 if함수의 조건으로 작성 하고 countifs함수의 결과값의 여부에 따라 0개인지 1개인지 결과값을 표기 하고 여기에서 countifs함수의 연차 사용 개수를 카운트 하여 차감해주는것입니다.
예제에서는 굉장히 단순하게 표현해 봤는데 아마도 사용자의 서식 또는 양식 그리고 입력된 기초 데이터 형식에 따라 수식이 변할 수는 있지만 기본적은 연차 발생 개수 또는 남은 개수, 사용 개수를 파악 하는것은 단일 조건 또는 다중 조건 개수 카운트 countifs함수를 사용하고 여기에 논리값을 적용하여 계산 할때 if함수를 사용해서 수식을 작성 할 수 있다는것을 기억해 두면 사용자의 환경이 바뀌더라도 수식을 무리 없이 작성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이상으로 "글쓰는이작가의 엑셀(Excel) 시간"은 마무리 하고,
"조건에 따라 발생 하는 연차 사용 개수 남은 개수 발생 개수 수식 작성 방법" 예제 샘플을 하단에 첨부하였으니 필요한곳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식으로 적용해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신 여러분들께 감사 말씀 드리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 "조건에 따라 발생 하는 연차 사용 개수 남은 개수 발생 개수 수식 작성 방법" 샘플 예제 서식 다운로드.
'엑셀(Exc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Excel) if함수 시간 조건 비교 계산 수식을 작성해 보자. (0) | 2022.11.17 |
---|---|
엑셀(Excel) vlookup 다중 조건 수식을 작성해 보자. (0) | 2022.11.17 |
엑셀(Excel) 구간 값 사이 값 수식을 작성해 보자. (0) | 2022.11.16 |
엑셀(Excel) index, match함수 vlookup함수와 hlookup함수를 동시에 사용하고 싶을때 index, match함수로 수식을 작성해 보자. (0) | 2022.11.15 |
엑셀(Excel) countifs함수 수식 결과값이 공란(공백) 시간이 입력된 셀의 공란(공백)을 제외하고 개수 세는 수식을 작성해 보자. (0) | 2022.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