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쓰는이작가

애드센스, 블로그 수익

애드센스 이해 - CPC, CTR, RPM

by 글쓰는이작가 2022. 9. 2.

안녕하세요. 일상에서 얻는 정보를 모두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일상에서 일어나는 에피소드들의 정보들을 기록하여 기억하고자 하는 시점에 기록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글을 쓰고자 하는 이작가입니다.

저 역시 지나간 모든 과거의 경험들을 전부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과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필요한 시점에 과거의 경험의 정보를 활용해 보기 위해 이 글을 작성합니다.

기록된 정보들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전달될 수 있길 바라겠습니다.

 

목차

     

     

    티스토리 블로그와 애드센스, 그리고 광고에 대해서 처음 접하게 되면 생소한 단어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PC(Cost per click), CTR(Click through rate), RPM(Revolutions per minute), 페이지뷰, 클릭수, 페이지RPM등의 용어를 접하게 됩니다.

     

    간단하게 용어들에 대해 기록해 봄으로써 애드센스의 웹페이지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앞으로 애드센스와 구글 서치 콘솔등의 통계를 활용하여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본인의 티스토리 분석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지식으로 활용 할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더불어 쇼핑몰과 같이 웹페이지상의 광고비용을 지불하는 광고주의 입장에서도 해당 용어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만으로도 광고의 집행 비용을 어떻게 줄여야 하는지 효율적인 광고 활용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분석하고 고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1. 애드센스 및 광고 용어.

    기본적으로 우리가 애드센스 및 광고를 집행할때 접하게 되는 기본 용어들로 기본적인 이해를 할 수 있어야 광고 집행 또는 광고 수익을 어떻게 절약하고 어떻게 상승시킬 수 있는것인가에 대한 통계와 지표 분석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① CPC(Cost per click)

    광고 클릭당 비용을 말하는것으로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할때마다 발생하는 수익으로 애드센스에서의 CPC(Cost per click)는 예상 수입을 클릭수로 나눈 값을 의미하는것으로 클릭당 평균 수익을 의미하는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② CTR(Click through rate)

    클릭되는 횟수, 즉 클릭률을 의미하는것으로 광고 노출수 대비 클릭되는 회수를 비율로 계산한것으로 광고 클릭수 / 광고 노출수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③ RPM(Revolutions per minute)

    보통 광고용어에서의 RPM(Revolutions per minute)은 1,000회 노출당 페이지 평균 수익을 의미하는것으로 페이지RPM으로 표기되기도 합니다. "(예상 수익 / 페이지 조회수 )*1000"으로 페이지RPM을 계산 할 수 있는데, 만약 10회의 페이지 수익이 $0.1라면 페이지RPM은 $10달러로 계산 할 수 있습니다.

     

    ④ 페이지뷰

    본인의 웹페이지에 방문한 사람이 조회한 페이지수를 의미하는것으로 애드센스에서 페이지뷰 집계는 방문자가 구글 광고가 게재된 페이지를 조회할 때마다 집계되고, 해당 페이지에 게재된 광고의 수와 상관없이 1회로 기록을 하는것으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만약, 광고 단위가 2개이상 들어있는 페이지더라도 해당 페이지를 조회한 회수가 1회이면 페이지뷰는 1회로 집계하는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⑤ 클릭수

    말 그대로 광고를 클릭하는 회수를 의미하는것으로 애드센스 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수치로 애드센스상에서 클릭수가 발생해야지만 광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수치로 볼 수 있습니다.

    만약, 본인의 블로그 조회수는 10,000회인데 비해 광고 클릭수가 0이라면 광고수익 역시 0원으로 클릭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것입니다.

     

    2. 애드센스 수익을 증대 시키기 위한 용어 이해

    애드센스 수익을 증대 시키기 위해서는 본인이 작성한 글에 대한 지표를 분석하고 여러 실험을 통해서 대안을 모색해야 하는데, 해당 용어의 상관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애드센스 지표 분석에 도움 될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CPC(Cost per click), CTR(Click through rate), RPM(Revolutions per minute), 페이지뷰, 클릭수, 페이지RPM

    CPC(Cost per click) 클릭당 금액이 높아야만 수익이 높아질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지만, CPC(Cost per click)이 항상 일정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CPC(Cost per click) 금액이 높다는것은 광고 단가가 높다는것으로도 이해할 수 있는데, 광고 단가가 높은 글을 작성하고 발행한다고 하더라도 CTR(Click through rate)이 높은 수치로 CPC(Cost per click)와 함께 작동을 해 주어야만 본인의 애드센스 수익이 향상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CTR(Click through rate)는 페이지 CTR(Click through rate)과 광고 노출 CTR(Click through rate)로 구분지어 볼 수 있는데, 몇번의 페이지 조회가 일어날때 몇번 클릭되느냐와 몇번의 광고가 송출될때 몇번의 클릭을 하는지로 구분하는것으로 한페이지에 송출되는 광고가 꼭 1개이지는 않고, 1개 이상의 광고를 송출하는 웹페이지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구분짓는것으로 광고 노출 CTR(Click through rate)은 낮더라도 페이지 CTR(Click through rate)이 높다면 페이지당 광고를 많이 넣더라도 사용자가 클릭할만한 광고수는 많지 않다는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 1명이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에 작성된 글을 1페이지 이상 열어보게 되거나, 작성된 글 또는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은 광고가 송출될 경우 RPM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작성하는 글은 꾸준히 발행되어야 하고, 그 글은 사용자의 검색 취지에 맞게 흥미를 유발하는 글을 작성하고 발행해서 1명의 사용자로 하여금 내 블로그에 오랜시간동안 많은 글 또는 페이지를 열어볼 수 있는 글을 작성하는것이 애드센스 수익 향상에 기본적인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만약, 검색자체에서는 노출이 되지만 사용자의 검색 취지에 맞는 내용이 아닌 글이라면 광고가 송출되기 이전에 사용자의 이탈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RPM은 낮아지게 될것이고 결국 애드센스 수익을 증가시키기 힘들다고 할 수있겠습니다.

     

    사실상 1개의 웹페이지에서의 방문자 1,000명을 유입시킨다는것은 굉장히 어려운것일겁니다.

    따라서 글을 작성하고 발행한 웹페이지 1개당 방문자를 하루에 10명만 유입시킬 수 있다면 100개의 글을 작성해야 하루 총 방문자가 1,000명되 될것입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방문자 유입의 글보다는 장기적으로 꾸준히 방문자를 유입시킬 수 있는 글을 작성하는것이 애드센스 수익의 향상에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겠습니다.


    댓글